본문 바로가기

치매안심센터 치매선별검사, 치매환자 케어, 전화번호 등 총정리

달타냥씨 발행일 : 2023-01-06
반응형

이 글은 국립중앙치매센터에서 운영하는 치매안심센터의 치매선별검사, 치매환자 케어, 예방 교육, 전화번호 등에 대해 설명한 글입니다.

반응형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환자입니다. 

2019년 기준 대한민국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은 전체 인구 대비 14% 입니다. 고령사회 진입 속도도 일본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2026년이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만큼 치매 환자 수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2018년 75만명이던 국내 치매 환자 수는 2030년 136만명, 2050년 271만명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이러한 추세라면 우리나라 국민 5명 중 1명이 치매 환자인 시대가 머지 않을 것입니다.

 

정부에서도 늘어나는 치매 환자수에 대응하기 위해 2017년 9월 '치매 국가책임제'를 도입하여 운영중이며, 전국 256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 운영하며 치매환자 및 가족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치매안심센터

치매선별검사

치매선별검사 질문 예시
1. 오늘이 몇 월이고, 무슨 요일인지를 잘 모른다
2. 자기가 놔둔 물건을 찾지 못한다
3. 같은 질문을 반복해서 한다.
4. 약속을 하고서 잊어버린다.
5. 물건을 가지러 갔다가 잊어버리고 그냥 온다.
6. 물건이나, 사람의 이름을 대기가 힘들어 머뭇거린다.
7. 대화 중 내용이 이해되지 않아 반복해서 물어본다.
8. 길을 잃거나 헤맨 적이 있다.
9. 예전에 비해서 계산능력이 떨어졌다.
(예: 물건값이나 거스름돈 계산을 못한다.)
10. 예전에 비해 성격이 변했다.
11. 이전에 잘 다루던 기구의 사용이 서툴러졌다.
(세탁기, 전기밥솥, 경운기 등)
12. 예전에 비해 방이나 집안의 정리 정돈을 하지 못한다.
13. 상황에 맞게 스스로 옷을 선택하여 입지 못한다.
14. 혼자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에 가기 힘들다.
(신체적인 문제(관절염)로 인한 것은 제외됨)
15. 내복이나 옷이 더러워져도 갈아입지 않으려고 한다.
 

중앙치매센터 인지선별검사(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 CIST) 검사지 신청하기

 

치매환자 케어

치매돌봄 10계명

1. 치매환자가 존중받아야 할 사람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인지기능의 손상이 있더라도, 치매환자는 여전히 자신의 성격과 취향이 있고, 아름다운 추억의 단편들을 지니고 있는 한 사람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따라서 배려한다는 이유로 마냥 아이처럼 대해서는 안되며, 여전히 가족으로부터 존중과 사랑을 받고 있으며, 가정에서 나름의 역할이 있다고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합니다.

 

2. 치매환자를 격려하고, 잔존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합니다.

가족들은 대부분 점점 나빠져가는 치매환자의 기억력을 되살려 보고자 많은 노력을 합니다. 잃어버린 기억을 살리고자 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기는 하지만, 그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아직 건강하게 남아있는 다른 기능들을 최대한 상실되지 않게 유지시키는 것입니다. 치매환자에게 남아있는 기능들을 감사하게 여길 필요가 있습니다. 그마저 없다면 얼마나 더 힘들까를 생각하면서 남아있는 기능들을 소중하게 잘 지켜나가야 합니다.

 

3. 치매환자의 작은 변화도 가치가 있고 감사해야 합니다.

치매환자는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는 능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건강할 때에는 한두 번 보거나 들으면 배울 수 있었던 것들을 수십 번 반복해도 습득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조금씩 끈기 있게 학습을 도와야 합니다. 출입문 비밀번호를 외우지 못 한다고요? 꾸준하고 요령있게 두세 달을 반복하면 대부분 외울 수 있습니다. 치매환자 스스로 대문을 출입할 수 있다는 사실이 때로는 얼마나 고맙게 느껴지는지 모릅니다.

 

4. 치매환자의 신체적 건강에 대한 세심한 관심으로 적절한 건강관리를 받도록 합니다.

치매환자는 자신의 신체 증상을 느끼고 표현하는 능력이 많이 부족합니다. 그러다 보면 진단이나 치료의 적기를 놓쳐 작은 병을 크게 키우기도 하고, 악화된 신체 질환 때문에 치매가 악화되기도 합니다.

 

가족들은 치매환자가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불편감이 없는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5. 장기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치매환자를 돌봐야 합니다.

치매환자는 원인 질환과 진행 단계에 따라 겪게 되는 문제가 다양합니다. 그러나 다행히 앞으로 겪게 될 문제들을 원인과 단계에 따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매 진단을 받게 되면, 먼저 원인 질환과 현재 중증도에 따라 앞으로 치매환자가 겪게 될 핵심적인 문제들을 파악하고,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미리 생각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6. 불의의 사고를 항상 대비하고 예방해야 합니다.

치매환자의 증상은 처한 환경과 신체 및 심리 상태에 따라 급격하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집안에서는 불안해하지 않던 분이 장거리 여행에서 무리한 여정을 소화하거나, 너무 붐비는 백화점에 나가면 전혀 예상치 못한 불안 발작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 대낮에는 길 찾는데 어려움이 없던 어르신이라도 밤이 되면 집주변에서도 길을 잃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쇼핑을 가더라도 편안함을 느끼고 문제행동을 유발하지 않는 곳이 어디인지, 여행을 가더라도 어느 정도 거리를 어떤 하루 일과로 계획하는 것이 좋을지를 고민해야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7. 치매관련 다양한 자원을 적극 활용합니다.

치매는 10년 이상 장기간 돌봐야 하고,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으로 부담이 큰 병입니다. 어느 한 가지 서비스로 이런 다양한 불편을 충분히 덜기는 어렵겠지만,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자신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잘 조합해서 이용하면, 장기적으로 치매환자를 돌보는 피로를 현저히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장은 크게 필요를 느끼지 않더라도 앞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미리 잘 파악해 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런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는 자격, 방법, 비용 등을 파악해서 언제부터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를 미리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비스도 아는 만큼 보입니다. 최근에는 치매환자와 가족을 위한 서비스들이 빠르고 다양하게 생겨나고 있어 가족들이 일일이 파악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치매상담콜센터 서비스(1899-9988)를 이용하시면 쉽게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8. 치매에 대한 지식을 꾸준히 쌓아가야 합니다.
치매는 원인 질환과 진행 단계에 따라 증상이 변화무쌍합니다. 치매환자를 잘 돌보기 위해서는 자신이 돌보고 있는 치매환자의 원인 질환과 단계에 따른 특성을 잘 알아야 하고, 현재 보이는 증상의 유발 요인과 대처법에 대한 지식을 담당 의사와 치매상담콜센터 서비스(1899-9988)와 같은 신뢰 할 수 있는 정보를 통해 꾸준히 쌓아가야 합니다.

 

 

치매환자를 돌보는 일은 치매라는 병을 아는 만큼 수월해집니다.

 

9. 치매는 모든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돌보아야 합니다.

치매환자는 진단 시점부터 주로 주부양자 한 분이 전적으로 돌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주부양자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부담을 본인이 견딜 수 없는 한계 상황에 이르기 전까지는 전적으로 혼자 짊어지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치매환자를 돌보는 일은 혼자서 전적으로 감당하기에는 부담도 너무 크고, 비효율적이며, 너무 긴 시간입니다. 따라서 가족들은 비록 주부양자처럼 물리적으로 환자를 직접 돌보는 역할은 하지 못하더라도, 유용한 정보를 대신 찾아서 알려주거나, 정기적으로 전화나 방문을 통해 주부양자의 스트레스를 풀어주거나, 십시일반 경제적인 지원을 함께 해야 합니다.

 

10.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자신의 건강도 잘 챙겨야 합니다.

치매환자를 돌보다 보면 시간이 없어서, 지쳐서, 혹은 치매라는 심각한 병을 앓고 있는 가족이 있는데 사소한 불편을 호소하기 미안해서 자신의 건강을 등한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생각 때문에 조기에 치료할 수 있는 종양이나 심장병을 키워서 자신뿐만 아니라 돌볼 사람이 없어진 환자까지 모두 불행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치매환자를 돌보자면 장기간 건강한 정신력과 체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부양자의 건강은 곧 치매환자의 건강과 직결됩니다. 결코 주부양자 자신의 건강을 챙기는 것을 미안해하지 말아야 합니다. 

 

치매환자와 본인, 두 사람의 삶이 모두 걸려있는 건강이니 만큼, 정기검진, 조기 검사 등을 통해 더욱 적극적으로 관리하셔야 하겠습니다.

 

치매안심센터 전화번호

전국 상세 치매안심센터 전화번호 바로가기

 
시설명 / 주소 전화번호
중앙치매센터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45 (을지로 6가 18-79)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1666-0921
서울특별시 광역치매센터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47 이화에수풀 2층
02-3431-7200
부산광역시 광역치매센터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공원로 26, 동아대학교병원 센터동 10층
051-240-2560
대구광역시 광역치매센터
대구광역시 북구 호국로 807 칠곡경북대학교병원 2층
053-323-6321
인천광역시 광역치매센터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수로 56 가톨릭대학교인천성모병원 제3별관 1층
032-472-2027
광주광역시 광역치매센터
광주 동구 제봉로 27 (학동) 한일빌딩 4층
062-226-2182
대전광역시 광역치매센터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82 충남대병원 노인보건의료센터 2층
042-280~8965
울산광역시 광역치매센터
울산 중구 태화로 240 (태화동, 동강병원남관) 6층
052-241-1591
세종특별자치시 광역치매센터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수원지1길 16
044-861-8540
경기도 광역치매센터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번지 경기도 인재개발원 내 신관1층
031-271-7021

 

함께보는 글

 

 

 

노인돌봄 생활지원사 나이제한 자격요건 및 총정리

정년퇴직 후 노년층 인구 증가 및 맞벌이 부부 가구 확대 등 사회구조 변화에 따라 복지정책 대상자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역사회 내 취약계층 발굴 업무를 수행할 인력 수요도

etc.k-infos.com

 

 

가족 요양보호사 신청 방법 및 급여 정보

가족요양보호사 들어보셨나요? 치매나 중풍 같은 노인성 질환 환자를 집에서 돌보며 요양 급여를 받는 제도입니다. 부모님 혹은 배우자 어르신께서 몸이 편찮으셔서 가정에서 모셔야 할 때 유

etc.k-infos.com

 

 

요양보호사를 관리하는 요양지도사

요양지도사는 의료기관이나 요양원 등의 장소에서 장애인이나 노인의 자유로운 이동과 일상생활을 도와주는 일을 하는 종사자입니다. 2018년 보건복지부가 장기요양 기관의 일자리 질 향상 및

etc.k-infos.com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방법, 국비지원 등 총정리

초고령화 사회 진입 속도가 빨라지면서 노인 관련 산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은퇴 후 노후 대비책으로 각광받고 있는 직업으로는 공인중개사와 주택관리사가 있는데, 여기에 하나 더

etc.k-infos.com

 

 

재벌집 막내아들 이성민 ‘섬망증’, 섬망 원인 및 증상, 예방법, 치매와 비교 등 총정리

이 글은 노인 섬망증 원인 및 증상, 예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 글입니다. JTBC 재벌집 막내아들의 이성민이 뇌기능 저하인 '섬망'에 걸려 많은 시청자들의 마음을 흔들었습니다. 오늘은 그 섬망, 섬

k-infos.com

 

 

노인 우울증 신체 증상, 치료 및 예방 극복방법, 치매와 비교 등 총정리

이 글은 노인 우울증 신체 증상 및 치료와 예방 극복방법, 우울증과 치매 비교 등에 대해 설명한 글입니다. 현대사회에서는 고령화 사회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을 만큼 평균 수명이 증가하였습니

k-infos.com

 

 

정신건강, 마음건강 관리법, 정신건강 종류 및 정신 건강 상담 전화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지수는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도한 업무량과 복잡한 인간관계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등등 각종 사회 문제들은 우리 스스로를 지치게 만듭니다. 이러한 상황

k-infos.com

 

 

치매를 예방하려면 반드시 먹어야 할 '2가지 음식'

치매에 걸린 82살의 어머니를 3년만에 기적처럼 되살린 한 아들이 화제입니다. 그 비결은 블루베리와 호두 함유량이 높은 지중해 스타일로 바꾼 엄마의 식단이었습니다. (출처: MBN 뉴스) 블루베

k-infos.com

 

반응형

댓글